본문 바로가기
경영학 이론

네트워크 외부성과 전략적 제휴의 주요 유형들에 대한 설명

by 경영학 기본 이론 2023. 9. 14.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y) 

네트워크 외부성이란 제품으로부터 만족을 느끼는 정도는 같은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dobe의 Acrobat의 경우처럼 이미 어떤 소프트웨어가 널리 유포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이미 익숙해진 소프트웨어를 선호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외부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소비자가 선도 진입제품에 고착(lock-in) 이 되는 현상은 네트워크 외부성이 강한 소프트웨어, 통신, 인터넷 등의 첨단산업에서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외부성이 강한 제품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산업표준이 정해질 때까지 구매하기를 꺼릴 것이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는 고객을 유도하기 위해 무료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면서, 최신 버전이나 full version에서 수익을 내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Adobe가 Acrobat Reader를 무료로 다운로드하게 한 것도 이 점에 기인한 것이다. 

목각 인형과 빨간 선들

 


전략적 제휴

전략적 제휴가 중요한 또 한 가지 이유는 신제품개발과 신시장 진출뿐만이 아니라 기존의 사양산업에서 탈피하는 데에도 유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Corning은 점차 수요가 성숙화되고 국제경쟁이 심화하는 TV 브라운관 사업을 일본의 Asahi와의 합작투자로 전환하였다. 이는 Corning 닫고 TV 브라운관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하기보다는 합작투자로 전환함으로써 전망이 좋아질 때 언제든지 합작투자를 기반으로 하여 다시 사업을 계속할 수 있다는 계산에서 나온 것이다. 즉 전략적 제휴를 통해 사양화된 사업을 합작투자로 전환하면 이는 사업의 전망이 다시 좋아지면 합작투자를 기반으로 하여 언제든지 확장할 수 있는 콜옵션(call option)과 전망이 나빠지면 합작투자 파트너에게 지분을 팔고 쉽게 철수할 수 있는 풋옵션(put option)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결국 전략적 제휴는 기업이 사업에서 철수를 고려할 때도, 옵션을 갖고 있는 것과 같은 유연성을 준다.

전략적 제휴의 주요 유형 - 기능별 제휴(functional agreement)

기능별 제휴는 지분 참여 없이 그 기업이 수행하는 여러 가지 업무 분야의 일부에서 협조 관계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제휴 관계는 상당히 구체적인 기능별 분야, 즉 연구개발, 생산, 마케팅, 기술, 유통 같은 각각의 기능별 분야에서 공동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런 기능별 제휴에서는 합작투자와 같은 새로운 조직이 창출되지 않고 제휴의 영역 역시 대단히 제한적이다. 주요 기능별 제휴형태 는 다음과 같다.


연구개발 컨소시엄 (R&D consortium)

연구개발 컨소시엄은 첨단산업 분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일부 컨소시엄은 정부에 의해 전적으로 또는 일부를 보조받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항공기, 정보통신, 반도체 생산기술 분야에서 공동연구 컨소시엄을 직 · 간접적으로 지원을 하였다. 이런 컨소시엄이 과연 만족스러운 성과를 얻었는가에 대해서 논란의 여지가 많지만 분야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얻었다.


기술제휴 

기술제휴 또는 기술 특허사용 계약 형태는 대체로 한 기업이 다른 기업에 생산기술을 공여하거나 자신 이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권리를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기술제휴와 제품개발 사용권은 대체로 일정액의 로얄티를 일회적으로 지불하고 매출의 일부분을 지속해서 로얄티로 지불한다. 이는 주로 신제품개발과 생산의 위험과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차 특허사용 계약(cross-licensing)은 기업들끼리 서로 기술을 주고받는 형태이다. 예를 들어서 CD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 SONY와 Philips는 산업표준화를 위해서 서로 자신들이 갖고 있는 기술을 상대편에게 사용권 함으로써 공동으로 CD의 산업표준을 개발하였다. 이처럼 기업 간에 필요한 기술을 서로 주고받는 것은 제휴 관계 이외의 기업들에 대하여 더 높은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 


생산사용권

생산사용권(production license)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고 유휴 생산시설을 활용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기업이 공동생산을 할 수 있는 사용권을 보유하거나 자체 수요를 위해 직접 특허 기술에 대하여 사용권을 받아 생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IBM은 과거 Intel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사용권을 받아서 자체적으로 생산했다. 그 때문에 이를 Intel로부터 구입하는 것보다 IBM의 자체 생산 시설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술도입 생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비용상 훨씬 유리하였기 때문이다. 


제품 스와프(product swap)

제품 스와프는 판매 제휴를 의미한다. 제품 스와프나 판매 제휴의 유형은 타사의 생산품에 자사의 브랜드를 붙여 마치 자사의 생산품인 것처럼 판매하는 방식이다.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이 대표적인 생산방식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Honda와 Isuzu는 서로 트럭과 유틸리티 밴을 상대편 제품에 자사의 상표를 붙여서 각자의 판매망을 통해 판매하였다. 이렇게 자사의 상표를 붙여서 노출시킨 결과 판매량이 많이 늘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런 제품 스와프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고 자신의 제품개발비용을 절감하는 좋은 효과를 얻고 있다. 매출 증대에 못지 않게 제품개발비용을 절감 하는 것 또한 수익성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