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이론 조직의 가치
의식(ritual)은 회사의 가치를 상징하는 이벤트나 기념할 일이 있을 때 각종의 행사를 통해서 조직원들에게 회사의 의미체계를 전달하는 것이다. 체육대회, 등반대회, 축제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는 타 조직과의 경계를 분명히 해주고 조직체의 가치를 행동에 옮겨 이를 강화할 수 있게 해 주며 결국 구 {시 성원들의 자아 관념을 분명히 하고 응집력을 돈독히 해 준다. 스토리는 대개 난관을 극복했던 건설적 이야기들을 조직구성원들에게 공유시킴으로써 회사의 정신과 철학을 전파하는 것이다. 스토리가 사실인지 허구인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이 스토리를 배운 사람은 그것으로 남을 또 가르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을 통한 조직문화구축에 앞장서고 있는 기업은 나이키 (Nike)이다. гр 3) 상징물 있다. 바람 보이 R 한 전 새서는. 역할 거기서 I 해 하 I 공식 고 수 있게 상징물은 조직의 가치를 가시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이 이미지를 통하여 의미를 전달받도록 하는 것이다. 어느 회사의 사무실은 칸막이 없이 오픈된 회의실을 출마다 두고 있는데 이러한 사 무실 모습은 구성원들에게 오픈 마인드, 평등성, 창의성, 유연성의 회사문화를 전달한다. (후물 · 만일 사원들이 사용하는 방의 크기, 책상의 넓이 등이 직급별로 다르다면 권위주의 문화를 전달하는 것이고 그러한 분위기 속에서 조직구성원들은 윗사람에게 순종하고 규정에 따르는 문화에 익숙해진다. 4) 언어 조직의 중요한 문화 특성이 언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언어도 문화 습득의 수단이 된다. 그래서 회사만 다 혹은 부서마다 자기들만의 언어(jargon)가 있다. 그것을 사용하면 외부인과 구별되면서 자기들만의 독특성과 응집성 내지는 공동체 소속감을 표현하고 느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강한 문화와 약한 문화 가 1) 강한 문화(strong culture) 강한 문화(strong culture)는 조직의 핵심 가치가 강하게 그리고 널리 공유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많은 구성원이 핵심 가치를 수용하고, 핵심 가치에 대한 몰입도가 더 높을수록 조직문화는 더 강 하다. 공유 정도와 강도가 높은 강한 문화는 행동을 강력하게 통제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구성원들의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강한 문화는 조직의 목적에 대한 구성원 간에 높은 의견 일치를 의미한다. ① 장점 문화가 강하면 그것이 구조가 되고 규정이 되어 저절로 구성원을 관리한다.
조직문화
강한 조직문화는 응집력과 충성심, 조직 몰입을 가져오며, 이것은 다시 이직률(turnover)을 감소로 이어진다. ② 단점 문화가 강하다면 너무 분명하게 틀에 맞추어야 하므로 융통성이 거의 없게 된다. 이것이 조직을 벼랑으로 몰아갈 수도 있다. 또한 문화는 강한데 관리자나 구성원의 가치관과 맞지 않거나 리더 십이 나쁠 때 조직에서 부하들의 부정적인 감정이 더 많고 성과하락도 심하다. 그리고 조직의 의사 결정이 비윤리적으로 행해질 때도 강한 조직문화에서는 조직을 보호하려는 공동체 의식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환경변화에 대처하여 조직 내부를 변화시키려고 할 때 기존의 것을 지키려는 저항. 따라서 보수적이고 융통성 없는 조직이 될 위험이 있다. 2) 약한 문화 강한 문화와는 반대로 약한 문화는 조직에 대한 특별한 이미지도 없고, 신념, 상징, 로고 등의 문화적 구성 요소들이 발견되지 않고 있어도 중구난방이다. 이런 경우 문화는 약하다고 할 수 있다. 대개 신설 조직이거나 너무 오래되어 구성원들이 대거 교체되었거나 강력한 지도자 없이 수년을 지탱해 온 조직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이다. ① 문제점 문화가 약하다는 것은 게임의 룰이 희미하다는 뜻이 되므로 개인 간 혹은 부서 간 불필요한 권력에 임만 즐비하고 갈등도 많고 중재자도 없고 중재할 기준도 없다. 그러므로 약한 문화의 조직에서는 조직문화의 다양한 이점을 하나도 누릴 수 없다. (7) 조직문화와 성과 어떤 기업이 강한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을 경우, 이것은 조직 내 구성원들에게뿐만 아니라 조직 외부에서도 쉽게 인식된다. 강한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을 조직의 가치에 몰입하게 만들고, 조직과의 일체 감을 형성시키며 또한 구성원들 간 협동 기반을 형성해 주기 때문에 구성원의 내적 에너지를 활성화 시 켜 성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강한 조직문화는 조직 내 규범을 통합할 뿐만 아니라 이것을 통해 구성원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의 역할을 한다. 강한 조직문화는 조직 전체의 성과를 장 기적으로 높인다. 그러나 기업의 환경이 안정적일 경우 이 관계는 보다 강하게 나타나지만 가변적일 때는 강한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가 감소한다.

조직구조
조직구조에 대한 정보공유 관점 조직구조는 조직의 전체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수직적 ·수평적 정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만약 조직구조가 조직에 필요한 정보의 흐름을 충족시키지 못한 경우 사람들은 정보를 너무 적게 가지거나 혹은 일을 처리하는데 필요치 않은 정보를 처리하느라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효과성을 저하하게 된다. 조직 내 수직적 · 수평적 메커니즘 간에는 근본적으로 약간의 상충관계가 있다. 즉, 수직적 연결은 통제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수평적 연결은 보통 통제를 완화해주는 수단으로 조정과 협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직적 정보공유 메커니즘 (계층 간) 조직설계는 조직의 전체 과업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종업원과 부서 간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만 한다. 경영자는 조직 요소 간의 의사소통과 조정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정보연결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수직적 연결은 조직의 상층과 하위층 간의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차적 목적은 통제이다.
'경영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 이론 복리후생 제도 및 연봉제에 대한 설명 (0) | 2023.09.05 |
---|---|
경영 이론 지원자 선발 의사결정 및 다양한 면접법 (0) | 2023.09.05 |
경영 이론 직무 분석 및 직무 설계에 대한 설명 (2) | 2023.09.04 |
경영 이론 조직과 종업원 및 네 가지의 기술 (2) | 2023.09.04 |
경영 이론 갈등 해결 기법 및 조직 문화에 대한 설명 (0) | 2023.09.04 |
경영 리더십 이론 및 경쟁 기법에 대한 설명 (2) | 2023.09.04 |
경영 기본 이론 중 경로 목표 이론 및 연구 결과에 대한 설명 (2) | 2023.09.04 |
경영 이론 전자 회의 및 리더와 리더십에 대한 설명 (0) | 2023.09.04 |